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 이슈] 7월 17일 제헌절, 이 글 하나면 우리 아이도 ‘헌법 탄생 스토리’ 척척!

by ISSUE_ITSUE 2025. 7. 2.
반응형

 

부모님이 “제헌절이 무슨 날이야?” 

하고 검색창에 물어보신 마음, 여기서 3분 만에 해결해 드릴게요 😊

 

제헌절의 핵심 한눈에 보기

구분 내용 비고
공식 이름 제헌절 ‘헌법을 제정한 날’
날짜 7월 17일 조선 건국일과 동일
의미 대한민국 헌법 제정·공포 기념 자유‧민주 국가 선언
국경일 여부 5대 국경일 중 하나 삼일절·제헌절·광복절·개천절·한글날
공휴일 여부 ❌ (2008년부터 제외) 주 5일제 도입 시 근무일수 조정
해야 할 일 태극기 달기 🇰🇷 국기를 달 때는 왼쪽·깨끗하게

 

아이도 이해하는 ‘헌법’ 이야기

헌법은 우리나라 규칙의 ‘가장 큰 형님’이야. 모든 법이 헌법을 따라야 하고, 헌법은 국민이 행복하게 살도록 지켜줘!”

  • 제1조
    1.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집에서 쉽게 설명하기

  • 헌법은 가족회의 rules의 ‘룰북’ 🎲
  • 누구도 그 룰북보다 위에 설 수 없어요!

 

왜 하필 7월 17일일까?

600년 전 1392년 7월 17일,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운 날.

1948년, 새 나라를 세운 우리가 같은 날짜에 헌법을 공포해 “역사를 잇고 미래를 연다”는 의미를 담았어요.

연도 역사적 사건
1392 조선 건국
1919 3·1 운동으로 ‘민주공화국’ 이상 제시
1945 광복, 일제에서 해방
1948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 공포 → 제헌절

 

제헌절이 공휴일이 아닌 이유

2003년 주 5일제 도입 때 “휴일이 늘어 생산성 저하”라는 산업계 의견을 반영,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

그래도 국경일이기에 태극기는 달아야 한답니다.

반응형

 

태극기, 꼭 달아야 하나요?

장소 게양 위치 시간
단독주택 대문 왼쪽 또는 중앙 해 뜰 때~해 질 때
아파트 베란다 난간 왼쪽 강풍 주의!

아이와 함께 달며 헌법 전문 첫 줄을 읽어보세요. 애국심이 쑥쑥! 비가 오면 국기가 젖어 훼손되어 달지 않아요.

 

역사 선생님이 들려주는 교실 비하인드 ✏️

초등 6-2반 수업 시간, “선생님~ 헌법이 법 중에서 레전드 1티어 맞죠?”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요.

그날 저는 교실 칠판에 ‘헌법 → 법률 → 학급 규칙’ 피라미드를 그리고 “모두가 행복하려고 만든 약속”이라고 설명했죠.

수업이 끝난 뒤 한 아이가 제게 다가와 “그럼 우리 반 규칙도 우리가 주인이네요!”라며 함박웃음을 지었답니다 😊

 

헌법의 정신이 아이 마음 속에 싹을 틔운 순간이었어요.

 

제헌절 자세히 보기

 

반응형